무릎에 부하가 덜가는 운동을 지속하여 근력을 유지하는 것이 「무릎관절증」 예방에 도움
- 2022년 진료인원 3,066천 명 … 남성 967천 명(31.5%), 여성 2,099천 명(68.5%)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부터 2022년까지 ‘무릎관절증(M17)’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진료인원은 2018년 2,874천 명에서 2022년 3,066천 명으로 191,424명 (6.7%↑)이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1.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22년 966,965명으로 2018년 860,101명 대비 12.4%(106,864명↑), 여성은 2022년 2,098,638명으로 2018년 2,014,078명 대비 4.2%(84,560명↑) 증가하였다.
1. 2022년 ‘무릎관절증‘, 60대 환자가 35.3%(108만 3천 명) 차지
2022년 기준 ‘무릎관절증’ 환자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3,065,603명) 중 60대가 35.3%(1,082,826명)로 가장 많았고, 70대가 26.8%(820,114명), 50대가 16.9%(518,801명) 순이었다.
남성의 경우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33.3%로 가장 높았고, 70대가25.3%, 50대가 17.9%를 차지하였으며, 여성의 경우도 60대가 36.2%, 70대가 27.4%, 50대가 16.5%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박상훈 교수는 무릎관절증 여성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퇴행성 무릎 관절염의 경우에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근력이 약하여 관절염이 쉽게 유발 된다. 그리고 50대 이후 호르몬의 변화로 인한 영향도 크게 작용한다. 50대 이후 골다공증이 여성에게서 우선 발생하므로, 이런 영향도 크고, 남성은 70대 이후에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유전적인 내반변형, 즉 O자 다리를 들 수 있는데, 이런 내반변형 또한 여성에서 좀 더 많이 볼 수 있다.”라고 설명하였다.
2. 2022년 ‘무릎관절증‘ 환자, 인구 10만 명당 진료인원 5,963명
인구 10만 명당 ‘무릎관절증’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2년 5,963명으로 2018년 5,628명 대비 6.0% 증가하였으며, 남성은 2018년 3,357명에서 2022년 3,757명(11.9%)으로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8년 7,913명에서 2022년 8,175명(3.3%)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무릎관절증’ 환자의 진료인원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22,722명으로 가장 많았다.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70대가 14,752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14,553명, 60대가 9,124명 순이며, 여성도 70대가 29,476명으로 가장 많고, 80세 이상이 22,274명, 60대가 20,479명 순으로 나타났다.
3. 2022년 ‘무릎관절증‘ 환자, 진료비 1조 8,898억 원(‘18년 대비 24.9% 증가)
‘무릎관절증’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8년 1조 5,127억 원에서 2022년 1조 8,898억 원으로 2018년 대비 24.9%(3,771억 원) 증가하였고, 연평균 증가율은 5.7%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성별 ‘무릎관절증’ 환자의 건강보험 진료비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37.1%(7,002억 원)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36.1%(6,832억 원), 80세 이상이 13.4%(2,527억 원)순 이었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60대가 36.0%(1,632억 원), 여성은 70대가 38.2%(5,487억 원)로 가장 많았다.
4. 2022년 ‘무릎관절증‘ 환자, 1인당 진료비 61만 6천 원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5년 간 살펴보면, 2018년 52만 6천 원에서 2022년 61만 6천 원으로 17.1% 증가하였으며,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은 2018년 37만 1천 원에서 2022년 46만 9천 원으로 26.5% 증가하였고, 여성은 2018년 59만 3천 원에서 2022년 68만 5천 원으로 15.5% 증가하였다.
2022년 기준 진료인원 1인당 진료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70대가 85만 4천 원으로 가장 많았고, 성별로 구분해보면, 남성과 여성 모두 70대가 각각 62만 원, 95만 3천 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복지신문⎓]